시각장애인은
좋은 눈의 시력이 0.02 이하인 사람, 두 눈의 시야가 각각 주시점에서 10도 이하로 남은 사람, 두 눈에 의한 시야의 2분의 1이상을 잃은 사람을 말합니다. (1~6급)
 |
 |
도와주겠다고 제안하되, 지나치게 고집을 부리지 않습니다. 시각장애인이 문을 지나거나 의자가 있는 쪽으로 가기 위하여 안내가 필요하다면, 당신의 팔을 잡고 당신이 움직이는 방향으로 따라갈 수 있도록 합니다. 시각장애인의 기준에서 의자가 어느 방향에 있는지를 이야기해 줍니다. 시각장애인이 계단 쪽을 향하여 가는 경우에는, 계단의 숫자와 방향을 말해줍니다. |
 |
같은 사무실에 있는 사람들과 시각장애인이 서로를 소개하도록 해줍니다. 해당 장애인이 사무실 및 그 직원들에게 적응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. |
|
|
 |
 |
주인의 허락을 구하지 않고 안내견을 건드리거나 안내견의 주의를 산만하게 해서는 안됩니다. 안내견은 애완동물이 아니며, 일반적으로 일하는 도중에 방해를 해서는 안됩니다. |
 |
길을 알려줄 때에는 시각장애인이 이해할 수 없는 설명은 하지 않습니다.
예를 들어, 어떤 장소를 설명할 때 ‘저쪽에’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. |
|
|
 |
 |
누군가가 사무실에서 나갈 때는 이야기해 줍니다. |
|
|
 |
 |
방향을 나타내는 표현을 사용할 때에는, 시각장애인의 위치를 기준으로 몇발짝 앞, 몇 미터 앞과 같이 구체적으로 말해줍니다. |
 |
새롭거나 낯선 환경으로 안내할 때에는 그곳의 특징이나 장식물에 대하여 설명해 줍니다. |
 |
물건을 전 해줄 때는 무슨 물건인지 간단히 설명하여줍니다. |
 |
시각장애인이 사용하는 서류나 물건은 마음대로 옮겨놓지 않습니다. |
|
|
 |
 |
도우미 등을 활용하여 문서화된 정보를 큰소리로 읽어줄 준비를 갖추거나, 시각장애인이 음성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를 묻습니다. |
|
|
 |
 |
시각장애인과 면접 또는 회의를 하는 경우에는, 조명이 밝은 곳을 선호하는지의 여부를 묻습니다. 명암의 대비가 심한 장소는 피하도록 합니다. |
 |
동행할 때는 흰지팡이 반대쪽에 서고, 시각장애인이 동행인의 팔을 잡을 수 있도록 합니다. |
|
|